게시글 신고

댓글 신고

넷플릭스2025-03-26 11:25:43

잘못된 신념이 만들어낸 다소 싱거운 지옥도

<계시록> 리뷰

똑같은 상황을 마주했을 때 우리는 각기 다른 생각을 하고 행동한다. 누군가에는 기쁜 일이, 누군가에는 슬픈 일, 누군가에게는 분노가 치미는 일이 되는 것처럼. 인풋은 같은 데 아웃풋이 다른 건 사람마다 상이한 믿음 때문이다. 도대체 믿음이 뭐길래. 만약 그 믿음이 그릇된 것으로부터 잉태되었고, 신념으로 뒤바뀐다면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까? <계시록>은 뒤틀린 신념에 사로잡힌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 물음의 답을 내놓는 영화다.

 

 

 

 

 

 

추적추적 비가 내리는 어느 날, 오늘도 열심히 신도들과 예배를 진행한 개척 교회 목사 민찬(류준열)은 여학생을 쫓아 교회로 들어온 의문의 사내 양래(신민재)를 발견한다. 예배가 끝난 후 민찬은 신도를 늘릴 생각으로 양래와 이야기하던 중 그의 발에 채워진 전자발찌를 확인한다. 맞다. 양래는 성범죄자다. 민찬은 그 사실을 알고도 양래에게 자주 오라고 권한다. 죄를 회개하라는 의미의 말을 전하며. 이후 민찬에게 큰 사건이 벌어진다. 갑자기 자녀가 사라진 것. 민찬은 양래를 의심하고, 그의 뒤를 쫓는다. 그리고 외진 고갯길에서 양래와 몸싸움을 벌이다 살인을 저지른다. 자책도 잠시, 이 모든 게 죄인을 단죄하라는 신의 뜻으로 여긴 그는 이 사실을 은폐한다. 정말 신의 뜻일까? 우연은 톱니바퀴처럼 물리고 민찬은 의심조차 받지 않는다. 단, 양래로 인해 친동생이 목숨을 끊은 후 악몽에 시달리는 형사 연희(신연희)만 빼고. 

 

 

 

 

 

 

 

 

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고, 세상은 그 믿음을 강요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연상호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계시록>을 만든 이유를 설명했다. 그가 누구인가? <사이비>부터<지옥> 시리즈에 이르기까지 그릇된 믿음으로 잉태된 다양한 군상들을 그린 감독 아닌가. 이번에도 그는 목사 민찬, 형사 연희, 성범죄자 양래를 주축으로 이 주제를 스크린에 옮긴다. 

 

세 사람 중 가장 중심에 있는 건 민찬이다. 개척 교회 목사로서 하느님을 모시는 일에 유념 없는 그의 마음은 한순간 혼탁해진다. 발단은 양래와의 만남 때문이지만, 이미 그의 마음엔 아내의 불륜으로 인해 배신감, 더 큰 교회의 담임 목사를 내심 바라는 욕망이 그득하다. 실수로 양래를 살해한 후, 그토록 바랐던 큰 교회 담임 목사 기회를 부여받자 그의 마음은 이내 이기심으로 뒤덮인다. 그리고 자신이 욕망하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이를 잘 보여주는 건 매 순간 우연한 사건과 눈에 보이는 신의 계시다. 이를 오롯이 믿는 그는 ‘신의 계시’라는 명목하에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기에 이른다. 이후 그에겐 실제 진실은 중요치 않게 된다. 그가 믿는 게 곧 진실이기 때문이다. 

 

 

 

 

 

 

 

연희 또한 양래의 범죄에 의해 스스로 세상을 떠난 동생을 구하지 못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인물이다. 그 무거운 마음은 환각을 낳으며 자신을 갉아먹는다. 어쩌면 그가 권양래를 쫓는 이유는 마음의 짐을 덜고, 편안히 살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권양래도 마찬가지다. 어린 시절 아비의 폭력과 학대로 인해 깊은 상처가 생겼고, 그로 인해 잉태된 외눈박이의 공포로 인해 죄 없는 사람들을 죽음으로 인도한 자신이 행동을 타당화한다. 

 

이처럼 세 사람은 시작은 다르지만, 결국 잘못된 믿음으로 인해 진실을 외면하고, 편의상 자신이 만든 허상을 맹목적으로 믿으며 살아간다. 결국 자기 합리화라는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며 사는지도 모른 채 이들은 바보같이 상대방을 탓하며 스스로 더 깊숙한 늪에 잠긴다. 후반부 세 사람이 만나 육탄전을 벌이는 롱테이크 장면은 이를 잘 보여주는 지옥도이자 우리의 현실이다.   

 

 

 

 

 

 

 

극 중 민찬의 입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계시’의 주체는 신이 아닌 본인 자신이다. 감독은 이들을 통해 점점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자신이 아는 게 진실인 것처럼 여기는 현실 속 사람들의 행태를 꼬집는다. 이전 작품과 달리 최대한 CG 사용을 자제한 것만 봐도 감독이 이 영화에서 리얼리티를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를 알 수 있다. 마치 영화는 거울 효과 치료 영상처럼 보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영화를 계속해서 보게 만드는 힘의 근원은 류준열이다. 그는 목사임에도 일련의 사건을 겪은 후, 왜곡된 세상을 진리로 받아들이는 인물을 연기한다. 불안한 영혼이 소유자였다가 계시라는 명목하에 자신에게 주어진 일들을 행해야 한다는 신념이 잡힌 후 변화하는 표정은 소름~~! 차 안에서 아내의 간음을 실토하게 하는 장면이나 신도들 앞에서 벌이는 광거이러니 퍼포먼스는 강렬한 임팩트를 전한다. 

 

 

 

 

 

 

그럼에도 <계시록>은 후반부로 갈수록 힘이 달린다. 세 인물로 점철된 잘못된 신념의 말로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 컸던 나머지 개연성과 짜임새 부분이 덜컹거린다. 더 중요한 주제를 위함이라고 믿고 또 믿으며 지켜보지만, 초반보다 축 늘어지는 스토리의 긴장감은 단점이 된다. 여기에 연기나 장면이 아닌 대사를 통해 주제 의식이나 메시지를 전하는 방식이 세련되지 못한 것도 아쉬움을 남긴다. 

 

영화는 지옥도의 비극으로 마무리하지 않는다. 대신 연희를 통해 자신이 만든 허상을 깨뜨리고 벗어날 기회를 제공한다. 이 장면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점차 지옥으로 변해가고 있는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 자체로 의미는 있다. 극 중 등장하는 범죄 심리학자인 교수는 연희를 보고 이렇게 말한다. 자신이 만든 허상 말고, 진실을 보자고. 어쩌면 이 교과서적인 대사는 연희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하는 말일 수 있다. 

 

 

 

사진 제공: 넷플릭스

 

 

 

평점: 3.0 / 5.0
관람평: 잘못된 신념이 만들어낸 다소 싱거운 지옥도

작성자 . 또또비됴

출처 . https://blog.naver.com/anqlepdl/223810249933

  • 1
  • 200
  • 13.1K
  • 123
  • 10M
Comments
  • 쿠니
    2020.10.13. 19:14

    반전포인트와 소소한 스토리

    쿠니
    2020.10.13. 19:14

    11.01 에 본영화 .배우들의 다양한 배역과 입체적인 캐릭터, 90년대 후반의 시대를 엿보는 맛은 쏠쏠하지만,다른 성별이 판단한 여자의 모습을 제3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참으로 어색하고 우스꽝스러운 장면이 몇 가지 있는건 어쩔 수 없는 한계인가?

Relative contents

top